![](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m3LFr/btq4YiXRvwI/ORdHqm6FRPHtbixWLQhuak/img.png)
기존에 s3에 있는 한글 이름을 가진 엑셀 파일을 변경하고 싶어서 맥에서 같은 이름의 엑셀 파일을 만들어서 다시 업로드했다. 그런데, 덮어써지지 않았다. 엥? 그래서 이래저래 삽질을 하다보니 유니코드에서 한글의 조합형(NFD)과 완성형(NFC)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맥은 조합형을 사용한 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엑셀 파일을 구글 드라이브를 통해서 만들고 다시 s3에 업로드 했더니 잘 되었다. 말그대로 한글 조합형(NFD)는 한글을 초성중성종성을 분리하여 유니코드로 표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템' 이라고하는 글자가 있다면 'ㅌ', 'ㅔ', 'ㅁ'이라고 분리해서 유니코드로 표현한다. 완성형(NFC)는 완성된 하나의 글자를 유니코드로 표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템'이라고 하는 글자가 있다..
최근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개발자의 연봉 상승이 언론 기사를 통해서 주목받고 있다. 주변의 개발자 지인들도 그런 흐름에 마음이 싱숭생숭하여 이직을 준비한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그리고 몇번의 이직을 경험해본 나에게 이렇게 묻는 경우가 종종 있다. "뭘 공부해야 할까?" 나는 이 질문 자체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공부해서 이직을 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내가 생각하는 이직의 정의를 먼저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 이직이란? 이직은 원래 다니고 있는 직장에서 비슷한 업무를 하고 있는 다른 직장으로 옮기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업무가 바뀐다면 나는 이것을 이직이라기 보다는 전직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기존의 업무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직업을 얻는 것은 신입으로 구직을 했다고..
- Total
- Today
- Yesterday
- S68
- AWSKRUG
- container
- ChatGPT
- 도커
- 객체지향
- AWS
- 발리
- hands-on
- Docker
- spring
- Clean code
- ES6
- javascript
- 회고
- 실수노트
- spring boot
- 한달살기
- springboot
- ecma6
- Bali
- 웹
- html
- 웹을 지탱하는 기술
- 사누르
- 컨테이너
- sanur
- 개발자
- rest
- 독후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